사진 & 카메라
[시그마 FP] 가장 작은 풀 프레임 카메라와 캐논 팬케이크 렌즈 조합 (MC-21, L마운트)
2021. 1. 19.요즘 메인 시스템으로 운용중인 L마운트. 사진/영상 작업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파나소닉 루믹스 S1을 통해 처음 접한 후 반 년 정도가 지났습니다. 라이카-파나소닉-시그마 세 회사가 연합한 미러리스 시스템으로 야심찬 출범에 비해 현재까지의 성과는 좋지 않지만 브랜드 이미지도가 막강한 라이카, 영상 기술을 선도하는 파나소닉, 좋은 성능의 렌즈를 합리적인 가격에 생산하는 시그마의 조화가 마음에 들고, 아직까지는 기대를 버리지 않고 있습니다. 메인인 S1이 기존 미러리스 카메라치고는 상당한 크기와 무게를 자랑해서 일상이나 여행용 서브 카메라가 필요했는데, 마침 L 마운트 렌즈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시그마 FP에 관심이 생겨 영입했습니다. 마치 모듈형 시스템처럼 액세서리를 조합해 시네마 카메라로 활용할 수 ..
라이카 비조플렉스 (Visoflex Typ 020) 소개 & 인상
2021. 1. 19.얼마 전 영입한 라이카 X Typ 113을 데일리 카메라로 잘 쓰고 있습니다. 전에 사용했던 후지필름 X100보다는 휴대성이 조금 떨어져도 겨울철 외투에 간신히 들어가긴 해서 외출 때마다 챙기려고 합니다. 걱정했던 대로 성능은 꽝에 가깝지만 일상 스냅 사진에는 아직까지 크게 무리가 없어서요. -작고 빠른 스냅 카메라 욕심이 또 생기긴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라이카 X용 필수(?) 액세서리 비조플렉스 Typ 020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제가 이전에 사용했던 라이카 Q를 재영입할까 고민하던 중에 X Typ 113를 선택하게 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역시나 이런 카메라에서 '보는 맛'이 더해진다는 건 커다란 매력이거든요. 아래는 라이카 비조플렉스 Typ 020의 간단한 사양입니다. LEICA VISOFLEX..
데일리 카메라 라이카 X(LEICA X Typ113) 소개
2020. 12. 29.언젠가 꼭 사용해보고 싶었던 카메라를 영입했습니다. 오랜만에 쥐는 라이카 카메라이기도 합니다. 앞으로 늘 휴대하면서 일상을 기록해보려고 해요. 35mm 렌즈와 렌즈 붙박이 컴팩트 카메라를 좋아해서 여러 제품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후지필름 X100 시리즈와 소니 RX1 시리즈 그리고 라이카 X 시리즈 등을 사용해 보았는데, 결과물은 역시나 풀 프레임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소니 RX1 시리즈가 가장 좋았지만, 마음에 남는 사진은 라이카 X 시리즈가 많았어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엘마릿 렌즈의 뛰어난 표현력 때문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특유의 불편함 때문에 좀 더 집중했던 것 같기도 하고요. 라이카 X1, X2를 사용하면서 새로운 X 시리즈인 X Typ113 모델도 궁금했는데 이번 기회에 해소할 수 있게 됐..
시그마 85mm F1.4 DG DN Art 렌즈 - 6.AF와 광학 성능, 그리고 총평
2020. 9. 14.시그마의 데일리 망원 렌즈 85mm F1.4 DG DN Art 렌즈에 관한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러리스 카메라용 대구경 망원 단렌즈 구매를 고려하시는 분들이 이 렌즈에 대해 궁금해 하실 AF 성능 테스트와 광학 성능, 동영상 촬영 활용에 활용했을 때의 장단점을 정리하고, 약 3주간 이 렌즈를 제가 가진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면서 느낀 이 렌즈의 평가를 덧붙이려고 합니다. 렌즈의 사양과 제가 체험 기간 동안 주제로 삼은 음식 촬영, 데일리 망원 렌즈로서의 가능성을 발견한 시그마 FP와의 조합 등 이 렌즈에 관한 다양한 내용들을 이전 포스팅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mistyfriday.tistory.com/3522 시그마 85mm F1.4 DG DN ART 렌즈 - 1.새로..
시그마 85mm F1.4 DG DN ART 렌즈 - 5.고화질 망원 렌즈로 담는 서울의 밤(보케/빛갈라짐 테스트)
2020. 9. 14.미러리스 카메라용 대구경 망원 렌즈 시그마 85mm F1.4 DG DN Art 렌즈에 관한 다섯 번째 포스팅. 이번엔 평소 렌즈를 평가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인 보케와 빛갈라짐의 형태, 조리개 값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야경 장노출을 좋아하는 제가 줌렌즈보다 단렌즈, 그 중에서도 대구경 단렌즈를 선택하는 중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높은 광학 완성도를 가진 렌즈일 수록 광원을 표현하는 보케와 빛갈라짐이 아름다운 경우가 많았거든요. 인물/정물 망원 렌즈의 촬영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대구경 망원 렌즈의 경우 보케 표현이 보다 중요시 되겠지만, 높은 조리개값과 장노출 촬영으로 얻는 야경 이미지 역시 아름다우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죠. 그래서 제 취향을 가득 담아 ..
가장 작은 풀 프레임 카메라와 데일리 망원 렌즈의 조화 (시그마 FP & 85mm F1.4 DG DN Art)
2020. 9. 9.오늘은 제가 요즘 주로 사용하는 데일리 카메라&렌즈 조합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시그마 85mm F1.4 DG DN Art 렌즈를 받기 전 가장 많이 기대했던, ‘세상에서 가장 작은 풀 프레임 카메라' 그리고 '작고 가벼운 데일리 망원 렌즈’의 조합입니다. 실제 결과도 기대만큼 만족스러워서 주중엔 메인인 루믹스 S1 대신 시그마 FP를 챙길때가 더 많습니다. 그 이유가 오늘 포스팅의 주 내용이 되겠네요. 시그마의 신제품 85mm F1.4 DG DN Art 렌즈에 관한 정보와 후기는 이전 포스팅에 정리해 두었습니다. 시그마 FP에 관한 내용도 조만간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https://mistyfriday.tistory.com/3522 시그마 85mm F1.4 DG DN ART 렌즈 - 1.새로운 ART의 ..
데일리 망원 렌즈로 기록한 일주일간의 #먹스타그램 (시그마 85mm F1.4 DG DN Art)
2020. 9. 4.오늘 포스팅은 음식 사진 찍기 좋아하는 제가 모은 일주일간의 식도락 기록입니다. 아마도 서울에서 점심 식사 선택권이 가장 열악한 반포에 근무하면서 매일 수고를 감수하고 인근 그리고 때때로 조금 멀리 벗어나 한 끼 즐기고 온 이야기를 담아보려고요. 같은 지역 분들께는 간단한 맛집 정보가, 음식 사진 좋아하시는 분들께는 사진을 찍은 카메라와 렌즈에 대한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시그마의 데일리 망원 렌즈 85mm F1.4 DG DN Art 렌즈를 체험하며 평소 제가 좋아하는 ‘음식 사진’을 주제로 정했습니다. 덕분에 매일 점심, 그리고 주말 외식-코로나19 때문에 외식은 쉽게 엄두를 못 내고 있습니다만- 메뉴를 심사숙고 해 맛있는 음식들을 먹을 수 있었어요. 어찌보면 사진 덕분에 생긴 일상의 작은 활력이지요...
시그마 85mm F1.4 DG DN ART 렌즈 - 2.작고 가벼운 ART (개봉기)
2020. 8. 26.(주)세기피앤씨의 신제품 체험단 이벤트를 통해 시그마의 새로운 ART 단렌즈 85mm F1.4 DG DN ART를 사용하게 됐습니다. 파나소닉 S1을 통해 L-마운트 시스템을 접하고 공부하면서 라이카, 파나소닉, 시그마 세 제조사의 개성있는 카메라와 가격대별로 다양한 렌즈 선택권 등에 만족감을 느끼고 있고, 렌즈와 액세서리 등 시스템 확장에 점점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비록 아직까지는 유저층이 빈약한 비주류 시스템이라 한계가 있지만 여전히 세 브랜드의 시너지를 기대하게 됩니다. 이번에 발표한, 그리고 제가 사용하게 된 L-마운트 85mm F1.4 DG DN ART 렌즈는 기존 85mm F1.4 DG HSM ART 렌즈와 초점거리와 최대 개방 조리개 값은 같지만 미러리스 카메라를 위한 새로운 렌즈 설계가..
시그마 85mm F1.4 DG DN ART 렌즈 - 1.새로운 ART의 혁신 (소개)
2020. 8. 25.그동안 필요 또는 호기심에 의해 여러 브랜드와 다양한 시스템의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했던 경험을 돌아보면 카메라와 렌즈를 선택하는 기준이 매해 조금씩 바뀌는 것을 느낍니다. 화소와 고감도 노이즈 억제 능력, AF 성능 등 기본적인 사양을 살펴보는 것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최근에는 영상 촬영 성능과 편의성을 전보다 유심히 보게 됐습니다. 그리고 이제 DSLR보다는 미러리스 카메라를, 그리고 35mm 풀 프레임 포맷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됩니다. 풀 프레임으로 완전히 주도권이 넘어간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서 이제 전처럼 주목받지 못하지만 -사실상 외면받고 있습니다만- 2008년 파나소닉과 올림푸스가 발표한 마이크로포서드 연합은 미러리스 카메라를 시장에 각인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파나소닉 GF와 올림푸스..
차세대, 초고속 메모리카드 소니 CFexpress Type B CEB-G 시리즈 구매기
2020. 7. 29.오랜 기간 사진 작업을 고집하던 제가 몇몇 계기로 요즘은 영상 작업에 더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아직 밥벌이 할 수준은 안돼서 다른 일들과 병행하고 있지만 언젠가는 요걸로 밥벌이를 하고 싶어요. -일 좀 주세요- 촬영 장비 역시 영상과 사진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아니 사실 영상쪽에 좀 더 무게를 둔 파나소닉 루믹스 S1으로 최근에 교체했고, 케이지며 매트 박스, 필드 모니터, 팔로우 포커스 등 촬영 장비를 하나씩 공부하며 채워가고 있습니다. 기본 구성만 갖췄는데도 그 묵직함이 꽤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 루믹스 S1과 영상 촬영 장비, 세팅 등에 대해서도 포스팅 해보려고 해요. 제가 사용하는 파나소닉 루믹스 S1은 두 개의 메모리카드 슬롯을 채용했는데, 그 중 하나가 차세대 메모리카드 규격인 XQD, ..
세계 최초 써드파티 RF 렌즈, 삼양 AF 14mm F/2.8 RF - 소감 및 총평
2020. 7. 15.RF 시스템 최초의 써드파티 AF 렌즈, 삼양 AF 14mm F2.8 RF 렌즈의 마지막 사용 후기입니다. 지난 렌즈 소개/첫인상/평가 편에 이어 마지막으로 약 보름간 EOS R과 삼양 AF 14mm F2.8 RF 렌즈를 사용하며 느낀 소감과 느낌을 실제 촬영 예제와 함께 자유롭게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정확한 테스트보다는 사용하며 느낀 소감이 중심이 될 것입니다. 이 렌즈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지난 포스팅에 스펙과 패키지, 특성 및 평가 등이 있습니다. mistyfriday.tistory.com/3506?category=908301 세계 최초 RF 마운트 써드파티 렌즈, 삼양 AF 14mm F/2.8 RF 소개 "세계 최초" 누군가는 이 단어에 벅찬 가슴떨림을 느낄 것이고, 누군가는 이전에 관심없던 ..
세계 최초 써드파티 RF 렌즈, 삼양 AF 14mm F/2.8 RF - 특징과 장단점
2020. 7. 15.세계 최초 써드파티 RF 마운트 AF 렌즈 -길다 길어- 삼양 AF 14mm F2.8RF 렌즈의 세 번째 후기입니다. 렌즈 소개와 가벼운 언박싱/첫인상에 이어 본격적으로 2주 가량 이 렌즈를 사용하며 느낀 특징과 장단점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합리적인 가격에 AF가 되는 캐논 RF 마운트 초광각 렌즈를 찾는 분들은 이전 포스팅에서 이 렌즈의 정보를 보고 오시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mistyfriday.tistory.com/3506 세계 최초 RF 마운트 써드파티 렌즈, 삼양 AF 14mm F/2.8 RF 소개 "세계 최초" 누군가는 이 단어에 벅찬 가슴떨림을 느낄 것이고, 누군가는 이전에 관심없던 세상에 발을 들이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이 타이틀을 얻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노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