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1 mark ii
올림푸스 E-M1 Mark II의 4K 동영상 작업을 위한 세팅 - C4K, 픽쳐 모드
2019. 4. 13.올림푸스 OM-D E-M1 Mark II를 4K 동영상 촬영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동영상 촬영 메뉴와 각종 설정들을 숙지하고 있습니다. 3840 x 2160 4K 해상도의 압도적인 선명함은 Full HD와 차별화되는 만족감을 안기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컴팩트 카메라, 엔트리급 미러리스 카메라에서도 4K 촬영을 지원하기 때문에 고해상도 이상의 그 무엇이 필요하죠. 당장 올림푸스 엔트리급 미러리스 카메라 E-PL9과 OM-D E-M10 Mark III 역시 4K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니까요. 하지만 E-M1 Mark II의 4K 동영상 촬영은 화질과 성능, 기능 지원 등 모든 면에서 분명히 그들보다 낫습니다. 동영상 촬영 설정을 최적화하고 특화 기능들을 활용하면 상당한 수준의 작업이 가능하죠. 그래서 이번..
벚꽃과 바다, 그리고 커피. 당일치기 강릉 봄나들이
2019. 4. 10.지난 주, 늦기 전에 봄나들이를 다녀와야겠다 싶어 '내일 당장' '강릉으로' 떠나기로 결정한 것은 밤 늦은 시각이었습니다. 때마침 연락이 온 친구에게 경포호의 벚꽃 이야기를 하니 따라 나서겠다고 하더군요. 그렇게 남자 둘이 아침 일찍 KTX를 타고 강릉으로 떠났습니다. 서울역에서 두 시간이 채 되지 않아 강릉에 도착했고, 택시 기사님의 강릉 소개를 들으며 경포호에 도착했습니다. 축제를 며칠 앞둔 평일이라 그런지 주차장 몇 백 미터 앞부터 차가 막히더군요. 창 밖 가득한 벚나무에서 쉴 새 없이 꽃잎이 떨어지는 걸 앉아서 보고만 있자니 엉덩이가 들썩거려 결국 못 참고 택시에서 내렸습니다. 가시연 습지공원부터 경포호로 이어지는 긴 산책로는 물론 길 건너까지 강릉의 모든 나무가 벚나무인것 마냥 연분홍 풍경이 가..
두물머리, 고요한 밤풍경을 담는 60초의 시간 (올림푸스 E-M1 Mark II)
2019. 4. 3.밤공기가 아직 차가운 3월 마지막 금요일 저녁, 정말 오랜만에 두물머리를 찾았습니다. 사진 아니면 산책을 핑계로 계절마다 찾던 곳이었는데 지난가을과 겨울에는 결석을 했네요. 운 좋게 근처에서 업무를 보고 야경을 보고 싶어 달려갔습니다. 일몰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서 반쯤 뛰듯 빠르게 걸었습니다. 서울 근교에 좋은 곳이 많지만 두물머리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그리고 자주 가는 포토 스팟입니다. 단순히 사진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강가로 길게 뻗어 안쪽 두물경까지 이어지는 산책로가 제가 아는 그 어떤 곳보다 좋습니다. 휴일만 피하면 사람도 그리 많지 않아서 좋아하는 노래 이어폰에 흐르게 두고 잘 닦인 길을 걷다 보면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걸음을 서둘렀지만 아쉽게도 제가 도착하니 이미 해가 거의 다 넘어가 있더군..
올림푸스의 테더링 촬영 프로그램 올림푸스 캡쳐 (Olympus Capture) 설치/테스트
2019. 4. 1.올림푸스에서 제공하는 전용 소프트웨어들을 하나씩 사용해 보고 있습니다. 기존 올림푸스 뷰어 3(Olympus Viewer 3)의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 올림푸스 워크스페이스(Olympus Workspace)를 얼마 전부터 테스트하고 있고, 이번에는 테더링 촬영을 지원하는 올림푸스 캡쳐(Olympus Capture)를 설치했습니다. 스튜디오 및 실내 촬영에서 PC를 통해 카메라를 원격 조정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즉시 확인 및 전송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이번에 OM-D E-M1 Mark II를 사용하면서 새롭게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 요즘 다양한 작업에 올림푸스 카메라를 접목하고 있습니다 -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에 있습니다. http://app.olympus-im..
올림푸스 E-M1 Mark II 전용 세로그립 HLD-9 사용 후기
2019. 3. 25.E-M1 Mark II와 함께 전용 배터리 그립 HLD-9를 영입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엔 E-M1X 대신 기분이라도 내 보자 싶어 들였는데 생각보다 촬영과 전원 관리에 도움이 돼서 PRO 렌즈를 사용할 때는 어김없이 체결하게 됩니다. 탈착도 쉽고요. 물론 휴대성은 포기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M1 Mark II 전용 배터리 그립 HLD-9을 사용하며 느낀 장단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그립Good - 카메라를 쥐었을 때 새끼 손가락이 허전한 성인 남성, 대구경 PRO 렌즈를 주로 사용하는 포토그래퍼 E-M1 Mark II는 올림푸스 미러리스 카메라 중 E-M1X 다음으로 크고 무겁지만 여전히 대다수의 DSLR 카메라보다 작고 가볍습니다. 이점이 카메라를 휴대할 때는 큰 장점이지만 사용자..
올림푸스 17mm F1.2 PRO vs 25mm F1.2 PRO 렌즈 비교 - 야경 촬영(보케, 빛갈라짐)
2019. 3. 21.현재 사용하고 있는 올림푸스의 PRO 단렌즈 시리즈 17mm F1.2 PRO, 25mm F1.2 PRO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좋아하는 야경 촬영에서 두 렌즈의 표현과 성능 차이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이전에 17mm F1.2 PRO 렌즈를 사용하며 장노출 촬영에서 크고 아름다운 빛 갈라짐에 좋은 인상을 받은 적이 있어 이번에 두 렌즈를 가지고 야경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촬영에 사용한 카메라는 E-M1 Mark II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두 렌즈의 프레임 차이, 그에 따른 F1.2 개방 촬영의 표현 차이 등을 살펴 보았습니다. 35mm 환산 약 34mm, 50mm로 프레임 차이가 크지 않을 줄 알았지만, 의외로 제법 차이가 났고 그만큼 두 렌즈로 표현할 수 있는 장면도 달..
새로 꾸린 올림푸스 미러리스 카메라 구성 & 관련 포스팅 소개 (E-M1 Mark II, PEN-F, PRO 렌즈, FL-900R)
2019. 3. 12.2019년을 맞아 촬영 장비를 새롭게 꾸렸습니다. PEN-F와 17mm F1.8 중심으로 단촐하게 운용했던 기존 구성에서 촬영 성능과 동영상 촬영 능력을 보강하기 위해 플래그쉽 카메라 E-M1 Mark II과 고성능 PRO 렌즈, 플래시 액세서리 등이 다수 추가됐습니다. 제 촬영 용도로 한정해 현재 올림푸스의 마이크로 포서드 시스템 중 최상위 제품들로 선택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새로운 장비들을 간단히 소개하고 앞으로의 활용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E-M1 Mark II 2017년 출시한 OM-D 시리즈의 플래그쉽 카메라입니다. 최근 AF 성능과 인터페이스, 동영상 촬영 능력 등을 강화한 E-M1X가 출시됐지만 제조사 발표에 따르면 E-M1X는 야생/스포츠 촬영에 특화된 플래그쉽 카메라, E-M..
올림푸스 17mm F1.2 PRO vs 25mm F1.2 PRO 렌즈 - 프레임과 심도 비교
2019. 3. 11.E-M1 Mark II와 함께 영상과 사진을 찍을 렌즈로 25mm F1.2 PRO 단렌즈를 추가로 영입했습니다. 그동안 17mm F1.2 PRO 렌즈를 주력으로 사용했지만 이제 두 개의 단렌즈를 상황/목적에 맞게 사용하려고 합니다. 두 렌즈는 올림푸스의 고급 렌즈 라인업인 PRO 시리즈이며 줌렌즈보다 조리개 값과 이미지 품질에서 상대적 우위에 있는 단렌즈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35mm 환산 초점거리가 약 34mm, 50mm로 현재까지는 해당 프레임에서 올림푸스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최고의 렌즈입니다. 하지만 두 렌즈의 프레임이 큰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두 렌즈를 모두 구매하는 것은 가격 대비 효율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저 역시 동의하고요. 차라리 17mm F1.2 PRO 렌즈와 망원 줌렌..
올림푸스 외장 플래시 FL-900R 소개 & 첫인상
2019. 3. 7.올림푸스의 플래시 시스템 중 최상위 제품인 FL-900R을 사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저뿐만 아니라 많은 올림푸스 카메라 사용자들이 휴대성과 가성비 위주-가성비는 이제 옛말이 됐지만-의 가벼운 구성을 선호하지만 최근 E-M1X와 F1.2 PRO 렌즈 시리즈 등 고성능/고화질 제품 위주로 올림푸스 미러리스 카메라의 행보에 맞춰 새롭게 장비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 중 E-M1 Mark II와 25mm F1.2 PRO 렌즈 등은 이미 사용해 본 적이 있지만 올림푸스의 플래시 시스템은 이번에 처음 접해보게 됐습니다. 다른 브랜드에 비해 액세서리에 대한 정보가 없어 앞으로 틈 나는대로 액세서리 제품에 대한 소개와 평가를 남겨 보려고 합니다. 제가 선택한 FL-900R은 올림푸스의 플래시 시스템 중 최상위 제품입니..
올림푸스 E-M1 Mark II 최신 펌웨어 ver 2.3 업데이트 내용 & 방법
2019. 2. 28.오랜만에 올림푸스 E-M1 Mark II를 사용하면서 가장 먼저 최신 펌웨어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제가 이 카메라를 마지막으로 사용했을 때가 벌써 2년 전이니 그 사이에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한 성능 향상과 기능 추가 등이 이뤄졌길 기대하면서요. 카메라의 펌웨어는 2.1, 렌즈는 1.0이었습니다. 2년 전 사용했을 때는 1.0 초기 펌웨어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반갑게도 그 사이 몇 번의 펌웨어 업데이트가 E-M1 Mark II에 이뤄졌습니다. 그 중 의미 있는 성능 향상이 더해진 2.0 메이저 업데이트가 일년 전인 2018년 2월 28일에 있었습니다. 제법 많은 변경 사항이 있었는데, 상세 내용은 아래 첨부합니다. 펌웨어 버전 2.0을 통해 추가되거나 개선 된 기능 (2018 년 2월) 프로 캡처 모드가 ..
올림푸스 E-M1 Mark II 전용 세로그립 HLD-9 소개 & 첫인상
2019. 2. 28.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제품은 올림푸스 E-M1 Mark II 전용 배터리 그립 HLD-9입니다. 작고 가벼운 PEN-F의 휴대성을 포기하고 E-M1 Mark II의 성능을 취하기로 결정하면서 아예 제대로 인터페이스와 그립감, 배터리 성능까지 누려보기로 했습니다. E-M1 Mark II는 E-M1X와 함께 올림푸스 미러리스 카메라 중 가장 크고 무거운 카메라로 분류되지만 DSLR 카메라와 비교하면 여전히 작고 가벼운 편입니다. 제 경우에는 손에 쥐었을 때 새끼 손가락이 허전해서 그립을 보강할 장치가 가끔 아쉬웠고요. - 사실 널 갖고 싶었어 - HLD-9은 E-M1 Mark II 전용으로 제작된 배터리 그립입니다. E-M1X 이전까지 올림푸스에는 세로그립 일체형 카메라가 없었던 만큼 플래그쉽 카메라에 걸..
올림푸스 PEN-F vs OM-D E-M1 Mark II - 내게 맞는 미러리스 카메라 선택
2019. 2. 21.출시 직후부터 약 3년간 디자인과 손맛에 반해 사용한 올림푸스 PEN-F를 뒤로하고 E-M1 Mark II로 기변을 감행했습니다. SLR 스타일의 미러리스 카메라 디자인을 선호하지 않고, 경박단소(輕薄短小)를 마이크로 포서드 카메라의 최대 장점으로 늘 이야기하는 제게 E-M1 Mark II는 선호하는 스타일의 카메라가 아닙니다. 그래서 2년 전 잠시 사용했다가 곧 다시 PEN-F로 다시 돌아오기도 했고요. 하지만 3년 새 달라진 컨텐츠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그리고 제 작업 흐름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꾸리기 위해 E-M1 Mark II를 선택하게 됐습니다. 현재 올림푸스 카메라의 새로운 플래그쉽 카메라 E-M1X가 출격 대기중이지만 2년 된 E-M1 Mark II가 갖는 이점도 있더군요. 이번 포스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