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푸스 17mm f1.2 pro
올림푸스 17mm F1.2 PRO vs 25mm F1.2 PRO 렌즈 - 프레임과 심도 비교
2019. 3. 11.E-M1 Mark II와 함께 영상과 사진을 찍을 렌즈로 25mm F1.2 PRO 단렌즈를 추가로 영입했습니다. 그동안 17mm F1.2 PRO 렌즈를 주력으로 사용했지만 이제 두 개의 단렌즈를 상황/목적에 맞게 사용하려고 합니다. 두 렌즈는 올림푸스의 고급 렌즈 라인업인 PRO 시리즈이며 줌렌즈보다 조리개 값과 이미지 품질에서 상대적 우위에 있는 단렌즈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35mm 환산 초점거리가 약 34mm, 50mm로 현재까지는 해당 프레임에서 올림푸스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최고의 렌즈입니다. 하지만 두 렌즈의 프레임이 큰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두 렌즈를 모두 구매하는 것은 가격 대비 효율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저 역시 동의하고요. 차라리 17mm F1.2 PRO 렌즈와 망원 줌렌..
아름다운 보케로 담은 서울의 겨울 밤거리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
2018. 12. 13.날은 좀 추워도 산책하기 좋은 밤입니다. 며칠 전, 제가 지은 두 번째 여행 에세이 '어쩌면 _할 지도'가 출간됐습니다. 아직 이런 일들이 믿기지 않는 촌뜨기라 첫 번째 출간때와 같이 아침 일찍 광화문 교보문고에 갔습니다. '정말로 내 책이 있을까?' 그리고 에세이 신간 코너에 가니 정말로 있더군요. 처음은 아니지만 이 두근거림은 두 번째라고 줄어들거나 무뎌지지 않는 것 같아요.새 책에 대한 정보, 그리고 출간 기념 이벤트에 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점에서 내 책을 발견했을 때의 두근거림이란 - 여행 에세이 '어쩌면 _할 지도'가 정식 출간됐습니다. 일 년간 매달린 출간 준비가 끝나고 정식 출간이 되니 마음도 후련하지만 이전보다 시간 여유도 생겼습니다. 그래서 좋아하는 친구..
올림푸스 PEN-F용 메탈 그립 ECG-4 사용 후기
2018. 12. 4.요즘 PEN-F에 17mm F1.2 PRO 렌즈 조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EN-F에는 17mm F1.8, 12mm F2 렌즈 둘이 시작이자 끝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지만 F1.2에 대한 욕심을 완전히 떨쳐버릴 수 없어 17mm F1.2 PRO 렌즈는 병용을 해 보려고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17mm F1.2 PRO와 17mm F1.8 렌즈의 외형을 비교한 적이 있습니다. 17mm F1.2 PRO 렌즈는 이름과 가격에 걸맞은 높은 완성도를 보여줬지만 PEN-F와는 디자인의 조화나 크기/무게 균형이 좋지 못한 것을 꼽았는데요, 그래도 17mm F1.2 PRO를 써 보자는 생각에 액세서리를 추가했습니다. 올림푸스의 PEN-F 전용 가로그립 ECG-4입니다. - PEN-F 전용 가로그립 ECG-4 - E..
올림푸스 17mm 단렌즈 비교(17mm F1.2 vs 17mm F1.8) - 1. 디자인과 휴대성
2018. 11. 29.필름 카메라에서 35mm 단렌즈를 즐겨 사용하는 제가 올림푸스에서 선호하는 렌즈는 동일한 프레임을 제공하는 17mm 단렌즈 시리즈입니다. 그 중에서 현재 판매 중인 렌즈는 2종으로 17mm F1.8, 17mm F1.8 PRO 렌즈입니다. 일 년 전 F1.2의 밝은 조리개 값을 실현한 PRO 단렌즈가 출시되면서 두 렌즈 사이에서 오랫동안 고민을 하고 있는데, 저와 같은 분들과 함께 이야기하고 싶어 두 렌즈를 비교해보게 되었습니다. 제가 렌즈를 평가하는 주 항목들을 기준으로 했으며, 두 편으로 나뉩니다. 이 외에도 혹 궁금하신 것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성의껏 테스트 해 본 후 답하겠습니다. 1. 사양 비교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 - 초점거리 17mm (35mm 환..
올림푸스 PRO 렌즈 시리즈 간단 비교 & 소감 - 17mm F1.2 PRO vs 45mm F1.2 PRO
2018. 3. 12.올림푸스 카메라에 관한 이번 포스팅은 2종의 PRO 단렌즈에 관한 것입니다. 지난해부터 빠르게 확충하고 있는 PRO 단렌즈 시리즈 중 F1.2 조리개 값을 갖는 대구경 렌즈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개방 촬영을 이용한 자유로운 심도 표현과 개방 촬영에서 뛰어난 이미지 품질 등이 장점으로 꼽히는데요, 그래서 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17mm F1.2 PRO 렌즈와 45mm F1.2 PRO 렌즈를 함께 사용하며 느낀 각 렌즈의 특징과 장단점을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왕이면 25mm F1.2 PRO 렌즈까지 3종을 모두 비교해 볼 수 있었다면 더 좋았겠습니다만, 지금은 두 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천후 광각 렌즈 vs 인물, 정물에 특화 된 망원 렌즈. 두 렌즈를 비교해 본다고는 했지만 사실 두 렌..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 - 17mm 프레임에 담은 봄 소식
2018. 3. 12.오늘 서울 낮기온이 14도까지 올라갔다고 합니다. 몇 번의 혹한이 있었지만 다른 해보다 빨리 겨울이 지나간 것 같습니다. 벌써 3월도 중순을 향해 가고 있으니 꽃샘 추위도 더 이상 없을 것 같습니다.저는 새로 출간된 책의 원고를 정리하며 겨울을 보냈습니다. 그래서 더 빠르게 느껴졌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원고 완성을 목전에 두고 하루 휴식을 보낼 겸 카메라를 들고 경복궁과 삼청동 산책을 다녀왔습니다. 겨울부터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OM-D E-M10 Mark III와 17mm F1.2 PRO 렌즈 조합을 중심으로 45mm F1.2 PRO 렌즈를 하나 더 챙기니 광각/망원 촬영이 모두 가능해졌습니다. 두 렌즈의 무게를 합해도 1kg이 되지 않고, 크기가 작아 재킷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원할 때 교체해 촬영할..
올림푸스 미러리스 카메라 OM-D E-M10 Mark III - Wi-Fi 무선통신 기능 활용
2018. 2. 26.올림푸스 카메라에 대한 이번 포스팅은 카메라의 부가 기능에 대한 내용입니다. 평소 부가 기능을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Wi-Fi 무선 통신 기능만은 무척 잘 사용하고 있으며 이제 없어서는 안 될 기능이 됐습니다. 실제로 함께 사용하는 Wi-Fi 미탑재 카메라를 사용하는 날은 그 불편함이 제법 크더군요.올림푸스 카메라는 타사보다 일찍 무선 기능 통신을 탑재한 편이고, 지속적인 앱 업데이트를 통해 활용 폭을 점차 늘리고 있습니다. SNS 업로드와 간단한 보정 작업 등 PC 없이도 디지털 카메라의 고화질 이미지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무엇보다 큰 장점인데, 특히 올림푸스 카메라의 내장 이미지 효과와 포토 스토리 기능을 스마트폰/태블릿에서 그대로 구현한 이미지 보정 앱 Olympus Image Palet..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 - 화질 테스트 & 비교
2018. 2. 20.M.ZUIKO PRO 렌즈는 당대 최고 수준의 올림푸스 광학 기술이 적용된 렌즈입니다. 주로 줌렌즈와 장망원 단렌즈로 발매된 PRO 렌즈군에 25mm F1.2 PRO 렌즈를 시작으로 단렌즈 시리즈가 속속 추가되면서 기존 PRO 렌즈보다 더 뛰어난 화질을 많은 사용자들이 기대하게 됐는데, 현재까지는 확실한 화질 향상으로 단렌즈가 갖는 매력을 갖췄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특히 F2.8 최대 개방에서 다소 불만이 있었던 최대 개방 촬영 결과물이 단렌즈 시리즈에서는 F1.2 촬영에서도 만족스러울만큼 좋아진 것이 그동안 PRO 단렌즈를 사용하며 느낀 점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17mm F1.2 PRO 렌즈의 이미지 품질과 개방 촬영의 결과물에 대해 간단히 중간 평가를 해보려 합니다. F1.2 이미지..
올림푸스 OM-D E-M10 Mark III - AP 모드
2018. 2. 12.올림푸스 OM-D E-M10 Mark III는 OM-D 시리즈의 막내로 가장 작은 크기와 가벼운 무게, 그리고 쉬운 조작법을 내세웠습니다. 실제로 이 카메라는 이제 막 사진을 시작하는 사용자, 그리고 아직 수동 촬영 조작에 능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위해 간편한 조작으로 근사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어드밴스드 포토(AP) 모드를 탑재했습니다. 넓은 장면을 담는 파노라마 기능부터 어려운 별/야경 촬영, HDR 촬영 기능을 한 곳에 모아 놓았고, 초점과 노출 실패를 줄이는 편의 기능 역시 포함됐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M10 Mark III의 AP 모드에 포함된 촬영 모드를 소개하고, 간단한 평을 덧붙이려고 합니다. 순서는 제 선호도에 따랐습니다. 무음 모드 그동안 미술관은 물론 음식점과 카페 등 실내 ..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 - 20cm 근접 촬영
2018. 2. 5.렌즈의 사양을 볼 때 눈여겨 보는 것 중 한가지로 최단 촬영 거리를 꼽습니다. 말 그대로 얼마나 피사체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수치인데, 프레임이 한정된 단렌즈를 사용할 때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피사체와 배경의 표현이 크게 달라지게 때문에 가급적 최단 촬영 거리가 짧은 렌즈를 선호합니다. 함께 사용 중인 타 브랜드의 렌즈가 80cm의 매우 열악한 근접 촬영 능력을 갖고 있는 것도 한 몫 하고요.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의 사양에서 20cm의 최단 촬영 거리가 눈에 띄었습니다. 이미지 센서를 기준으로 한 거리이기 때문에 실제 체감하는 촬영 거리는 20cm보다 더 짧아서, 렌즈와 피사체의 거리가 약 10-15cm 정도로 가깝게 느껴집니다. 이를 통해 다양..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 - 야경 & 빛 갈라짐 표현
2018. 1. 29.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 렌즈에 관한 짧은 이야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렌즈를 사용하던 중 인상적이었던 것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올림푸스 카메라로 장노출 촬영을 즐겨 하는 편입니다. 특히 여행때 어디서나 미니 삼각대를 세우고 장노출 촬영을 하며 맥주 한 잔 하는 즐거움은 다른 것과 비교할 수 없을만큼 매력적입니다. 제가 야경 촬영 카메라로 올림푸스 카메라를 선호하는 이유를 꼽아보면, 1. 삼각대를 챙겨야 하는 촬영 특성상, 작고 가벼운 시스템이 유리하고2. F8 이상의 높은 조리개 값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포서드 시스템이 가진 심도 표현의 약점에서 자유로우며3. 올림푸스 카메라의 경우 M 모드에서 셔터 속도를 타사보다 긴 60초까지 ..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 - F1.2 개방 촬영 & 보케
2018. 1. 19.올림푸스의 새로운 PRO 렌즈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의 정체성을 저는 ’17’과 ‘1.2’ 두 개의 숫자로 꼽습니다. 17mm의 초점거리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선으로서 제가 ‘무엇'을 담을지 선택하는 데, F1.2의 밝은 초점거리는 그 피사체를 ‘어떻게’ 담을지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이제 막 렌즈를 받아 들고 시간 날 때마다 조금씩 친해지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디자인에서는 다른 PRO 렌즈들과 다른점이 없어 신상의 즐거움은 덜하지만 오랫동안 사랑에 빠져있는 17mm만의 프레임 그리고 무엇보다 그동안 사용했던 17mm 렌즈들의 아쉬움을 해소하는 F1.2의 표현에 큰 흥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올림푸스의 17mm 'F1.2렌즈’가 가진 새로..